[동향] ISO IWA 48 : ESG 경영 원칙(2)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공인노무사들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
자료실

[동향] ISO IWA 48 : ESG 경영 원칙(2)

관리자 0 55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지금,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기업이 ESG 경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원칙과 철학이 필요한데,

이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기업은 환경적,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이해관계자들과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IWA 48에 포함된 ESG 경영 구현의 6가지 원칙을 소개하고, 이를 어떻게 기업의 전략에 통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IWA 48(2024)에 따르면 다음의 원칙 하에서 기업 운영의 의사결정, 보고, 평가활동이 수행되어야 합니다.

 

 

1. 진실성(Intergrity)

기업은 ESG 의사결정 과정에, 국가·사회·기업 관점에서 보편적 또는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윤리 원칙을 적용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동시에 독립성, 객관성, 개방성, 투명성과 같은 요소도 반영해야 합니다. , 기업은 투명하고 정직하게 정보를 공개하며, 이해관계자들에게 사실을 왜곡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건전한 리더십, 시스템 및 통제를 기반으로 기업 내부에 효과적인 책임 매커니즘을 구축하고, 이해관계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2. 결과지향성(Outcome-focused)

기업은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전략수행 및 운영 활동으로 발생하게 될 직·간접적인 환경 및 사회적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평가·관리하는 활동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설령 기업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 할지라도, 이와 같은 확인·평가·관리가 필요합니다.

 

 

3. 형평성(Equity)

장단기적 위험, 기회 그리고 자원의 가용성이나 중요성, 미래세대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 등을 고려하여 조직과 이해관계자들이 추구해야 하는 윤리·사회·환경적 공유 가치를 보장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가능한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그리고 공평한 방식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4. 위기와 기회(Risks and opportunities)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생산되고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모든 단계와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위기와 기회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5. 실증적 접근(Evidence-based)

신뢰할 수 있고, 검증 가능한 근거에 따라 가능한 과학적, 분석적으로 결과를 식별하고 평가해야 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기업 내외부의 위험과 기회, 그리고 그 중요성을 고려하여 가장 중요한 위험이나 기회부터 우선적으로 다뤄야 합니다.

 

 

6. 내재화(Maturity)

ESG를 조직 내 핵심 가치로 통합(내재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수사례의 발전과 업데이트, 위험과 기회 관리, 측정, 보고의 효과적 실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 ESG 경영활동은 외부 공시를 위한 일회성 활동이 아니라, 조직의 DNA나 핵심 가치로 내재화 되어야 합니다.

 

 

 

ESG 경영은 단기적인 성과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책임 있는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

앞서 제시된 6가지 원칙은 기업이 ESG를 효과적으로 내재화하고,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가이드라인이 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보다 투명하고 공정한 경영을 실현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한편,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원칙에 대한 고민이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이 되기 위한 첫 걸음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0 Comments